한국의 AI 회사들은 그들의 사업 영역과 기술 적용 분야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. 대표적인 분류 기준과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대기업 중심 AI 플랫폼 및 서비스
- 특징: 막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며, 다양한 소비자 및 기업용 서비스를 제공해요.
- 예시: 네이버(클로바 AI), 카카오(카카오 i), 삼성전자(Bixby, 스마트홈 솔루션), LG전자(ThinQ AI)
-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AI 솔루션 업체
- 특징: 특정 산업이나 문제에 초점을 맞춘 맞춤형 AI 솔루션을 개발하며, 빠른 혁신과 유연한 대응력을 자랑해요.
- 예시: 의료 영상 분석 AI를 개발하는 뷰노, 다양한 분야의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솔트룩스, 고객 응대 챗봇이나 데이터 분석을 하는 스켈터랩스, 금융 및 보안 분야의 AI 기술을 개발하는 딥노이드
- AI 연구 및 개발(R&D) 전문 기업
- 특징: 대학이나 연구소와 협력하며 기초 기술 연구와 신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곳들이 많아요.
- 예시: 여러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AI 알고리즘 및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소 기반 기업들
- AI 하드웨어 및 인프라 업체
- 특징: 인공지능 연산을 위한 반도체, 서버, 센서 등 하드웨어를 개발하며, AI 솔루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인프라를 제공해요.
- 예시: AI 전용 반도체나 칩을 개발하는 기업(솔브레인, 퓨처칩스 등)과 같이,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통합 솔루션 업체
- 산업별 특화 AI 솔루션 업체
- 특징: 자동차, 헬스케어, 금융, 스마트 시티 등 특정 산업의 니즈에 맞춰 최적화된 AI 기술을 제공해요.
- 예시: 현대자동차 등 자동차 분야의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솔루션, 뷰노와 같은 헬스케어 AI, 핀테크 관련 AI 스타트업 등
이렇게 한국의 AI 기업들은 대기업부터 혁신적인 스타트업, 연구 중심 기업, 하드웨어 전문 업체, 그리고 산업별 특화 솔루션 제공업체 등 다양하게 존재하며, 각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기술 발전과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요.